• ABOUT U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Menu
  • ABOUT US
Home  /  경제 •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  커먼즈의 논리와 시장의 논리

커먼즈의 논리와 시장의 논리

경제,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Videos Leave a Comment

* 아래 표는 Silke Helfrich가 작성한 것으로서 The Wealth of the Commons : A World Beyond Market and State (2012)에 처음 등장한 것을 David Bollier가 그의 책 Think Like a Commoner (2014)에 부록으로 실은 것이다. 이 표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라이선스의 적용을 받는다.

핵심적 신념들의 간단한 비교

 

이윤추구 패러다임

커먼즈 패러다임

자원

희소성이 주어지거나 (장벽과 배제를 통해) 창출된다.

경합 자원의 경우에는 공유를 통해 모두에게 충분하게 되며, 비경합 자원의 경우에는 풍부하다.

 

전략 : ‘효율적’ 자원할당.

전략 :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자원의 공정한 공유와 지속 가능한 이용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이다.

개인관

개인들은 자신에게 돌아가는 혜택을 극대화한다(homo economicus)

인간은 무엇보다도 협동적인 사회적 존재들이다.

인간의 자연 및 타인들에 대한 관계

분리

· 양자택일

·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 인간 사회 대 자연

상호관계성

· 개인과 집단은 서로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로를 강화한다.

변화의 동인

강력한 정치적 로비, 이익집단들과 정부에 초점을 둔 제도화된 정치.

다양한 공동체들이 분산된 네트워크들로서 작동하며, 해결책은 가장자리들(margins)에서 온다.

초점

개인적 이니셔티브, 혁신 및 효율을 통해서 성취되는 시장 변화 및 성장(GDP).

사용가치, 공통의 부, 지속 가능한 생계 그리고 기업의 보완성.

핵심 물음

무엇을 사고 팔 수 있는가?

내가/우리가 살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거버넌스

의사결정

위계적, 하향식; 명령과 통제

후평적, 탈중심적, 상향식. 자기조직화, 자원 이용의 감시와 조정.

결정원리

다수결

합의

사회적 관계

권력관계

중앙집중화와 독점

탈중심화와 협동

소유관계

배제적 사적 소유 : “나는 내 것을 가지고 내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집단적으로 이용되는 점유 : “나는 내가 공동으로 사용되는 것에 관하여 공동으로 책임을 진다.”

경합자원(토지, 물, 숲···)에의 접근

제한된 접근. 희소성이 법과 테크놀로지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창출된다.

무제한적 접근. 오픈액세스가 기본 규범이다.

이용권

소유자에 의해 허용된다(혹은 허용되지 않는다). 개인의 권리에 초점을 둔다.

공동으로 생산하는 이용자들에 의해 공동으로 결정된다. 공정함, 모두의 접근가능성에 초점을 둔다.

사회적 실천

타인들을 희생시키며 이루어진다. 경쟁이 지배한다.

커머닝(commoning). 협동이 지배한다.

지식 생산

 

교육 및 지식 생산에 기업 이데올로기와 가치가 통합된다.

p2p, 네트워킹, 협동이 다양한 관점을 허용한다.

 

지식이 사고파는 희소한 자산으로 간주된다.

지식은 사회의 공동선을 위한 풍요로운 자산으로 간주된다.

 

소유되는 테크놀로지

자유롭고 소스가 공개되는 테크놀로지

 

극히 전문화된 지식이 특권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지식이 사회적이고 민주적인 통제에 종속된다.

함축된 사항들

자원

고갈/착취

종획

보존/유지

재생산 및 확대

사회

개인적 전유 대 집단적 이익

 

배제

“나의 개인적인 발전이 다른 사람들의 발전의 조건이며, 또한 다른 사람들의 발전이 나의 발전의 조건이다.”

공생공락적 연관을 통한 해방

image_pdfimage_print

Share On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Google+
Share on Whatsapp
 Previous Article 시장과 국가를 넘어
Next Article   커먼즈란 무엇인가

Related Posts

  • ‘페어코인’은 최초의 커먼즈 통화

    2014년 3월 15일
0 0 votes
Article Rating
Login
guest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카테고리

  • 경제 (94)
  • 과학·기술 (26)
  • 도시·지역 (42)
  • 문화·역사 (20)
  • 미분류 (6)
  • 법·거버넌스 (27)
  • 삶정치 (77)
  • 생태 (39)
  • 액티비즘 (44)
  • 예술 (13)
  • 웹·디지털 (47)
  • 철학·이론 (37)
  •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106)
  • Popular Posts
  • Recent Posts
  • 도마뱀이 해주는 이야기 (1/4) 2020년 4월 17일
  • 커먼즈로서의 버닝맨(Burning Man as a Commons) 2014년 3월 15일
  • 폴 크래플(Paul Krafel)의 ‘표행’(飄行)과 ‘더 커먼즈’(The Commons) 01 2019년 4월 27일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2022년 7월 8일
  • 조직화된 공유의 새로운 영역들 2025년 6월 6일
  • 미래의 자연 — 대중적 장르를 통해 커먼즈 바라보기 2025년 3월 9일
  • 전 세계 도시 커먼즈를 위한 아틀라스 2025년 1월 3일
  • 캐스케이디아 그리고 전지구적으로 재개된 생물지역 행동주의 2024년 11월 11일

태그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자유주의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최근 댓글

  • 네이선 슈나이더와 협동조합 운동의 미래의 인터네상에서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하기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지역화폐, 사회적 자본 및 기본소득에 관한 토론의 자본에서 커먼즈로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홀로체인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의 홀로 체인 | '2026' 대박 코인 리스트 #5편 / 홀로코인 Hot / 피어 투 피어 기초에 충실한 블록체인~! / 투자왕 솔라나,아발란체,알고랜드,아이오텍스,하모니,헬륨,홀로코인,신시틱스 상위 138
  • 금융·보험·부동산 부문의 공생관계의 김영종
  • 가이 스탠딩의 『자본주의의 부패』의 바다 약탈을 막을 ‘블루커먼즈’ 어젠다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202
  • 223
  • 1,732,358

RS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조직화된 공유의 새로운 영역들
  • 미래의 자연 — 대중적 장르를 통해 커먼즈 바라보기
  • 전 세계 도시 커먼즈를 위한 아틀라스
  • 캐스케이디아 그리고 전지구적으로 재개된 생물지역 행동주의
  • 건축에 상상력이 미치는 영향력
  • 건축의 일곱 등불
  • 공생공락 보전을 통해 분리된 인간과 자연 사이에 다리를 놓기
  • 인터네상에서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하기
  • 자본에서 커먼즈로
  • 인류세라고? 아니다, 우리는 생태세에 들어서고 있다

CONTACT US

commonstrans@gmail.com

태그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자유주의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보관함

  • 2025년 6월 (1)
  • 2025년 3월 (1)
  • 2025년 1월 (1)
  • 2024년 11월 (1)
  • 2024년 10월 (1)
  • 2024년 9월 (1)
  • 2024년 8월 (1)
  • 2024년 6월 (1)
  • 2023년 12월 (1)
  • 2023년 11월 (1)
  • 2023년 10월 (1)
  • 2023년 6월 (2)
  • 2023년 2월 (1)
  • 2023년 1월 (1)
  • 2022년 12월 (2)
  • 2022년 8월 (1)
  • 2022년 7월 (3)
  • 2022년 6월 (1)
  • 2022년 4월 (2)
  • 2022년 3월 (1)
  • 2021년 12월 (1)
  • 2021년 11월 (1)
  • 2021년 10월 (1)
  • 2021년 9월 (2)
  • 2021년 8월 (3)
  • 2021년 6월 (1)
  • 2021년 2월 (1)
  • 2021년 1월 (3)
  • 2020년 12월 (3)
  • 2020년 11월 (3)
  • 2020년 10월 (1)
  • 2020년 9월 (2)
  • 2020년 8월 (2)
  • 2020년 7월 (1)
  • 2020년 6월 (1)
  • 2020년 5월 (2)
  • 2020년 4월 (5)
  • 2020년 3월 (5)
  • 2020년 2월 (4)
  • 2020년 1월 (2)
  • 2019년 12월 (4)
  • 2019년 11월 (3)
  • 2019년 9월 (3)
  • 2019년 8월 (2)
  • 2019년 7월 (4)
  • 2019년 6월 (4)
  • 2019년 5월 (5)
  • 2019년 4월 (4)
  • 2019년 3월 (1)
  • 2019년 2월 (2)
  • 2019년 1월 (1)
  • 2018년 11월 (4)
  • 2018년 10월 (59)
  • 2018년 9월 (42)
  • 2018년 8월 (31)
  • 2018년 5월 (5)
  • 2018년 3월 (15)
  • 2018년 1월 (1)
  • 2014년 3월 (13)
  • 2014년 2월 (2)
  • 0년  (1)

Random Posts

  • COVID-19와 자본의 회로 2020년 5월 5일
  • 도마뱀이 해주는 이야기 (4/4) 2020년 4월 28일
wpDiscu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