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UT U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Menu
  • ABOUT US

[월:] 2018년 03월

플랫폼 협동조합주의에 대한 트레버 숄츠의 새 보고서

저자: David Bollier  원글: “Trebor Scholz’s New Report on Platform Cooperativism” (2016.2.15)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  옮긴이:  정백수   기업의 ‘공유경제’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데 거기서 주된 작용을 하는 것 하나는 ‘플랫폼 협동조합주의’(platform cooperativism)를 발전시키는 운동이다. 로자...
Read More about 플랫폼 협동조합주의에 대한 트레버 숄츠의 새 보고서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Leave a Comment

‘도시를 구축하라’―예술, 문화, 커머닝의 중대한 역할

*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2015년 12월 23일 게시글 ““Build the City”: The Critical Role of Art, Culture & Commoning”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몇몇 고유명사의 옮김은 실제 발음과 다를 수 있다.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Read More about ‘도시를 구축하라’―예술, 문화, 커머닝의 중대한 역할
도시·지역 Leave a Comment

데이빗 볼리어와의 인터뷰

다음은 데이빗 볼리어가 최근에 나온 책 『커머닝의 패턴들』(Patterns of Commoning)에 관하여 웹진 ≪셰어러블≫(Sharable)의 캣 존슨(Cat Johnson)과 인터뷰한 기사를 옮긴 것이다. 다소 모호한 부분들이 있어서 세부의 정확성보다는 내용전달의 손쉬움에 초점을 두었다. 정확하고 세밀한 이해를 원하는 사람은 아래 원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Read More about 데이빗 볼리어와의 인터뷰
액티비즘,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Leave a Comment

퍼블렙 랩과 풀뿌리 맵핑

*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David Bollier)와 질케 헬프리히(Silke Helfrich)가 편집한 Patterns of Commoning(2015)에서 트리스턴 코플리-스미스(Tristan Copley-Smith)가 집필한 ‘Public Lab’에 관한 부분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잘 모르는 영역을 소개하는 내용이라서 번역어의 선택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이미 출판되어...
Read More about 퍼블렙 랩과 풀뿌리 맵핑
과학·기술, 웹·디지털 Leave a Comment

곧 해방될 노래 <해피 버스데이>

* 다음은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게시된 2015년 8월 12일자 글 “The Impending Liberation of “Happy Birthday””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가 적용된다.      곧 해방될 노래 <해피...
Read More about 곧 해방될 노래 <해피 버스데이>
예술 Leave a Comment

커먼즈로서의 도시

*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2015년 11월 14일자로 게시된 글 “The City as Commons: The Conference”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가 적용된다.    커먼즈로서의 도시 옮긴이 : 정백수...
Read More about 커먼즈로서의 도시
도시·지역, 법·거버넌스, 웹·디지털 도시 커먼즈, 바르셀로나 엔 꼬무(Barcelona en Comú),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Leave a Comment

오픈 플랫폼에서 디지털 커먼즈로의 이동

* 아래는 카탈로니아 개방대학(Universitat de Oberta Catalunya)의 블로그에 「열린 사유」 시리즈의 일부로 게시되었으며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2015년 11월 5일자로 게시되기도 한 볼리어의 글 “The Shift from Open Platforms to Digital Commons”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카탈로니아 개방대학의 블로그는 여러 형태의...
Read More about 오픈 플랫폼에서 디지털 커먼즈로의 이동
과학·기술, 웹·디지털,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Leave a Comment

강추!! 카프라와 마테이의 『법의 생태론』

*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2015년 10월 9일자로 게시된 글 “Highly Recommended: Capra & Mattei’s The Ecology of Law”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가 적용된다. 강추!! 카프라와 마테이의 『법의 생태론』 ...
Read More about 강추!! 카프라와 마테이의 『법의 생태론』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법, 커먼즈 Leave a Comment

누가 왕의 삼림을 사용할 수 있는가

* [옮긴이]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게시된 2015년 9월 14일자 게시글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내용전달 위주로 서둘러 옮겨야 했기 때문에 정밀하게 옮기지 못한 부분들이 있을 수 있다. 주석은 모두 옮긴이의 것이다.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Creative...
Read More about 누가 왕의 삼림을 사용할 수 있는가
경제,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Leave a Comment

폭스바겐 스캔들, 사유(私有) 코드(proprietary code)1의 위험을 확인해주다

* 아래는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에 9월 25일에 게시된 글 “Volkswagen Scandal Confirms the Dangers of Proprietary Code”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내용전달을 위주로 거칠게 번역된 것이며, 전문용어의 경우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과 번역어가 달리 사용되었을 수도 있다. 데이빗 볼리어의 블로그의 글들은...
Read More about 폭스바겐 스캔들, 사유(私有) 코드(proprietary code)1의 위험을 확인해주다
과학·기술 Leave a Comment
image_pdfimage_print
1 2 Next →

카테고리

  • 경제 (90)
  • 과학·기술 (24)
  • 도시·지역 (33)
  • 문화·역사 (17)
  • 미분류 (6)
  • 법·거버넌스 (25)
  • 삶정치 (75)
  • 생태 (33)
  • 액티비즘 (42)
  • 예술 (8)
  • 웹·디지털 (44)
  • 철학·이론 (35)
  •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91)
  • Popular Posts
  • Recent Posts
  • 도마뱀이 해주는 이야기 (1/4) 2020년 4월 17일
  • 커먼즈로서의 버닝맨(Burning Man as a Commons) 2014년 3월 15일
  • 폴 크래플(Paul Krafel)의 ‘표행’(飄行)과 ‘더 커먼즈’(The Commons) 01 2019년 4월 27일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2022년 7월 8일
  • ‘해적 돌봄’ 강의요목 2022년 12월 14일
  • 커먼즈의 제헌권력 ― 공적인 것과 공통적인 것의 관계에 대한 시론(試論) 2022년 12월 6일
  • 바다 약탈을 막을 ‘블루커먼즈’ 어젠다 2022년 8월 4일
  • 전유될 수 없는 것을 제도화하기 2022년 7월 12일

태그

Antonio Negri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최근 댓글

  • 홀로체인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의 홀로 체인 | '2026' 대박 코인 리스트 #5편 / 홀로코인 Hot / 피어 투 피어 기초에 충실한 블록체인~! / 투자왕 솔라나,아발란체,알고랜드,아이오텍스,하모니,헬륨,홀로코인,신시틱스 상위 138
  • 금융·보험·부동산 부문의 공생관계의 김영종
  • 가이 스탠딩의 『자본주의의 부패』의 바다 약탈을 막을 ‘블루커먼즈’ 어젠다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의 전유될 수 없는 것을 제도화하기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의 카오모

  • 10
  • 1,340
  • 538,771

RS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해적 돌봄’ 강의요목
  • 커먼즈의 제헌권력 ― 공적인 것과 공통적인 것의 관계에 대한 시론(試論)
  • 바다 약탈을 막을 ‘블루커먼즈’ 어젠다
  • 전유될 수 없는 것을 제도화하기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 퍼더필드 — 예술과 게임이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다
  • 커먼즈 네트워크 작은 포럼 2022 상반기 프로그램 공통주의 연구모임 발표
  • 오늘날 이반 일리치가 여전히 중요한 이유
  • 상품이 아니라 커먼즈로서의 식량
  • 친애하는 친구 질케 헬프리히(1967-2021)를 추모하며

CONTACT US

commonstrans@gmail.com

태그

Antonio Negri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보관함

  • 2022년 12월 (2)
  • 2022년 8월 (1)
  • 2022년 7월 (3)
  • 2022년 6월 (1)
  • 2022년 4월 (2)
  • 2022년 3월 (1)
  • 2021년 12월 (1)
  • 2021년 11월 (1)
  • 2021년 10월 (1)
  • 2021년 9월 (2)
  • 2021년 8월 (3)
  • 2021년 6월 (1)
  • 2021년 2월 (1)
  • 2021년 1월 (3)
  • 2020년 12월 (3)
  • 2020년 11월 (3)
  • 2020년 10월 (1)
  • 2020년 9월 (2)
  • 2020년 8월 (2)
  • 2020년 7월 (1)
  • 2020년 6월 (1)
  • 2020년 5월 (2)
  • 2020년 4월 (5)
  • 2020년 3월 (5)
  • 2020년 2월 (4)
  • 2020년 1월 (2)
  • 2019년 12월 (4)
  • 2019년 11월 (3)
  • 2019년 9월 (3)
  • 2019년 8월 (2)
  • 2019년 7월 (4)
  • 2019년 6월 (4)
  • 2019년 5월 (5)
  • 2019년 4월 (4)
  • 2019년 3월 (1)
  • 2019년 2월 (2)
  • 2019년 1월 (1)
  • 2018년 11월 (4)
  • 2018년 10월 (59)
  • 2018년 9월 (42)
  • 2018년 8월 (31)
  • 2018년 5월 (5)
  • 2018년 3월 (15)
  • 2018년 1월 (1)
  • 2014년 3월 (13)
  • 2014년 2월 (2)
  • 0년  (1)

Random Posts

  • P2P 영성이 불가능할 이유가 있는가? 2018년 10월 4일
  • 지상(地上)의 소금: 공통주의에 대하여 ― 네그리 인터뷰 (1) 2020년 2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