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UT U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Menu
  • ABOUT US
Home  /  경제 • 삶정치 • 액티비즘  /  고조되는 협동조합 운동 – 슈나이더와의 인터뷰

고조되는 협동조합 운동 – 슈나이더와의 인터뷰

경제, 삶정치, 액티비즘 경제붕괴, 긱경제, 네이선 슈나이더, 노동자 소유권, 리먼브라더스, 월가를 점령하라, 협동조합, 협동조합 운동 Leave a Comment

 


  • 저자  :  Nathan Schneider, Amy Goodman, Juan Gonzalez
  • 원문 :  Interview: Nathan Schneider with Amy Goodman and Juan Gonzalez, Democracy Now (2018.09.18)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No Derivative Works 3.0 United States License

  • 분류 : 번역

  • 옮긴이 : 민서
  • 설명 : 아래는 Democracy Now!의 2018년 9월 18일 자 뉴스에서 네이선 슈나이더(Nathan Schneider)를 인터뷰한 것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번 주는 ‘월가를 점거하라’ 운동 7주년이자 미국 투자 은행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여 세계 금융위기가 촉발된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이 위기는 ‘월가를 점령하라’, 스페인의 M-15 운동 및 그리스의 긴축재정 반대운동을 포함해서 전 세계에서 대대적으로 반자본주의 운동들을 촉발했다. 저자이자 활동가인 네이선 슈나이더(Nathan Schneider)는 “우리가 이 날들, 특히 경제가 붕괴된 날을 거의 추념하지 않는 ··· 이유는, 붕괴의 원인···을 다루기 위해 우리가 정말로 어떤 진지한 일을 해 본적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한다. 슈나이더는 자신의 신간에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활한 협동적 소유권에 기반을 둔 대안적 경제 모형의 윤곽을 그린다. 이 신간의 제목은 『모두를 위한 모든 것—앞으로의 경제를 형성하는 급진적인 전통』(Everything for Everyone: The Radical Tradition That Is Shaping the Next Economy)이다.

 

후안 곤살레스

이번 주는 ‘월가를 점거하라’ 운동 7주년이자 미국 투자 은행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여 세계 금융위기가 촉발된 지 10년이 되는 날입니다. 미국 정부가 월 스트리트의 최대 부실 은행 몇 곳에는 공적자금을 지원했지만, 미국과 전 세계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집과 평생 모은 재산을 날렸습니다. 유럽의 활동가들은 주말 내내 10주년을 추념하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 은행 밖에서 항의했습니다.

 

에이미 굿맨

금융위기는 이곳 미국에서의 점거운동과 스페인의 15-M 운동 및 그리스의 긴축재정 반대운동을 포함해서 전 세계 반자본주의 운동들을 대대적으로 촉발했습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금융위기의 영향에 관해 더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네이선 슈나이더씨와 함께 합니다. 네이선 슈나이더씨는 협동적 소유권에 기반을 둔 대안적 경제 모형의 윤곽을 그리는 신간의 저자이시며, 협동조합 운동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 다시 고조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슈나이더씨의 책이 막 발간되었습니다. 책 제목이 『모두를 위한 모든 것—앞으로의 경제를 형성하는 급진적인 전통』(Everything for Everyone: The Radical Tradition That Is Shaping the Next Economy)입니다. 최근에는 「부자들이 미국을 망가뜨리고 대가를 치르지 않았다」(“Rich People Broke America and Never Paid the Price”)라는 헤드라인이 달린 그의 글이 <바이스>(Vice)지에 실렸습니다. 또한 『고마워, 아나키—오큐파이 아포칼립스로부터의 소식』(Thank You, Anarchy: Notes from the Occupy Apocalypse)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네이선 슈나이더 씨는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며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의 미디어학 교수입니다.

<디마크러시 나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막 볼더에서 오셨군요. 자, 경제 붕괴라고 불리는 것의 10주년과 당신이 아주 큰 부분을 차지했던 오큐파이운동 7주년, 이 두 가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네이선 슈나이더

우리가 이 날들, 특히 경제가 붕괴된 날을 거의 추념하지 않는 게 놀랍습니다. 경제 붕괴가 지난 10년을 규정했고 제 세대를 규정했으며 아주 많은 사람들의 삶을 규정했는데도 말입니다. 우리가 그날을 추념하지 않는 이유는, 붕괴의 원인과 붕괴에 대한 끔찍한 반응을 다루기 위해 우리가 정말로 어떤 진지한 일을 해 본적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붕괴로 수만 명의 사람들이 자신의 집과 일자리를 잃어야 했는데도 말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상상력이 바닥나 있는 동안에도, 풀뿌리 수준에서 그리고 점점 더 정책 수준에서 운동이 조용하게 성장하여 이런 협동조합 기업 전통을 통해 세상을 바꿀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곤살레스

그 몇 가지 예를 들어 주시겠습니까? 아시다시피 경제 위기 이전에도 수십 년 동안 미국에 협동조합 운동이 있었죠. 붕괴 이후에 일어난 변화를 몇 가지 사례를 들어 말씀해주세요.

 

슈나이더

물론, 오랜 전통이 있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이것은 농부들에게 힘을 실어준 전통이자 소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해준 전통이지만 눈에 띄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도 아닌 저의 조부가 소규모 철물점들이 살아남고 번창할 수 있도록 하는, 전국적인 철물점 구매협동조합을 만드는 데 기여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저는 그것이 협동조합이라는 것을 알지도 못했습니다. 그것은 제가 배운 어떤 것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붕괴 이후 몇 년 동안 예를 들어, 2011년 점거 운동을 하는 동안 ‘예금 옮기기’(Move Your Money) 날이 있었는데 이날 수십만 개의 계좌가 대형 은행에서 신용협동조합(은행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들이 소유한 은행)으로 이동했습니다. 전국적으로 특히 도시에서 노동자 소유권에 대한 관심, 즉 노동자들이 그들이 고용된 사업체의 소유주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점점 더 연방정부의 전략으로 옮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놀라울 정도로 초당파적인 기회입니다. 10년 전 있었던 우리 경제 시스템의 실패를 실질적으로 벌충할 조용한 기회죠.

 

곤살레스

하지만 일부 약탈적인 자본가들도 사업가들 간의 협동이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거나 발전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다소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것은 에어비앤비, 우버 같은 공유 경제 전체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일종의 협동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있고 이것으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 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슈나이더

맞는 말씀입니다. 아시겠지만 협동조합 만들기가 사실상 원조 크라우드펀딩이었으며 원조 공유경제였습니다. 대부분 우리는 이제 우버와 에어비앤비의 경제가 진정한 공유경제가 아니라 추출경제라는 사실을 알 만큼 똑똑해졌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제가 관심을 가지고 주로 추적해 온 것은 세계 전역에서 일군의 사람들이 진정한 공유경제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입니다. 디지털 도구들을 사용해서 맨 아랫사람까지 소유권과 거버넌스를 모두 공유하고 최전방 노동자들—청소하는 사람들과 운전자들 등등—이 자신들의 노동 기준을 직접 결정하는 긱경제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죠.

 

에이미 굿맨

이것은 당신이 ‘월가를 점거하라’에서 당신이 말하는 장면입니다. 일곱 번째 기념일이 어제 9월 17일 월요일이었는데요, 이것은 저기 주코티 공원에서 당신이 말하는 장면입니다.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은 집회입니다. 제 생각에 현재의 핵심요구 사항은 조직할 권리, 공공장소에서 정치적인 대화를 나눌 권리, 말하자면 월 스트리트에 민주주의가 어떤 모습인지를 보여 줄 권리인 것 같습니다.”

슈나이더씨, 저것은 7년 전 당신의 영상이에요. 이제 당신은 이 책을 쓰셨군요. 당신이 말하고 있는 이 급진적 전통과 전 세계에서 상승세를 타고 있는 협동조합, 구체적으로 이것들에 대해서 그리고 당신이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세요.

 

슈나이더

놀랍게도 저 광장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일상적인 삶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한다는 생각은 우리가 잃어버린 일종의 희망에 해당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1930년대와 40년대에도 미국 정부가 촉진하고 있던 그런 것이었죠. 그것은 잊혀진 가능성, 뭐 그런 것이었습니다.

개개의 기획들과 관련해서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플랫폼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긱경제가 있습니다. 우리 앞에는 지금껏 우리가 보아온 것과는 사뭇 다른 기회가 놓여있는데, 현재 실버 쓰나미(silver tsunami)1)[옮긴이] 실버 쓰나미(Silver Tsunami)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를 빗댄 말로 주로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시기를 나타낸다.로 알려진 현상으로 기업 소유주들 전부가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전국의 고용주들인 중소기업들이 사적 지분에 잡아먹히고 있습니다. 바로 이 상황이야말로 직원 소유권으로 전환할 기회입니다. 우리가 제대로 된 정책도구와 제대로 된 쓸모 있는 금융도구를 가지고 있다면 말입니다.

따라서 지금 우리 앞에 놓인 기회는 엄청난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사회운동들과도 연결됩니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을 위한 강령은 그 정책제안들에서 ‘협동’과 유사한 단어들을 40번 이상 언급했습니다. 이것은 사회운동이 협동조합 기업에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일 뿐입니다.

 

곤살레스

그렇다면 정치권력 구조에 어떠한 종류의 변화도 없다면 입법자들이 협동조합 운동들을 억제할 방법과 사회에서 특혜 받는 위치에 있는 독점자본이나 대자본을 유지할 방법을 항상 내놓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말씀을 하시겠습니까?

 

슈나이더

이상한 것은 사실상 이것이 정치적 스펙트럼을 가로지르며 일어나고 있는 어떤 것이라는 것입니다. 조용하게 일어나고 있긴 하지만요. 아시다시피 실제로 민주당과 공화당의 2016년 강령은 노동자 소유권이 늘어나는 것을 지지합니다. 지난 2년 동안 민주당은 이것이 자신들이 주도권을 잡기를 원하는 쟁점이 될 것이라는 것을 인정해 왔죠. 불과 2주전에 기업의 노동자 소유권과 기업의 전환을 촉진하는 메인스트리트 고용인소유권 법안(Main Street Employee Ownership Act)이 통과되었습니다. 그래서 믿을 수 없을 만큼 양극화된 이 순간에 우리에게 흥미로운 기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미 형성되기 시작한 정치적 토대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 토대를 강화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리고 10년 전 붕괴를 만들어 낸 바로 그 시스템은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요구사항을 훨씬 큰 소리로 키워서 저들이 경청하도록 만들기만 하면 됩니다.

 

굿맨

긱경제와 조작된 경제(rigged economy)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슈나이더

조작된 경제—맞습니까?—는 책임이 위로 향하는 경제로서, 이 경제에서 기업은 궁극적으로 소수의 주주들과 대규모 투자자들에게만 책임을 지게 됩니다. 기업이 모진 결정을 내려야 할 때 기업의 책임은 위로 향하고, 담보대출금 때문에 위태로운 사람들은 책임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들입니다.

긱경제는 어떤 의미에서 기회이자 위험입니다. 긱경제는 그것이 노동자들이 수십 년 동안, 수백 년 동안 쟁취해온 것을 포기함을 의미한다는 점에서는, 종종 그런 의미였다는 점에서는 위험입니다. 하지만 긱경제가 보다 유연한 노동의 기회를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노동자들이 실제로 통제권을 쥐고 있는 노동의 미래를 창출할 기회가 됩니다.

 

굿맨

마지막으로, 일어난 일에 대해 누가 책임을 졌는가와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10년 전에 얼마나 많은 것을 잃었는가 하는 사실이 있죠?

 

슈나이더

제 생각에 우리는 사실상 아무에게도 충분할 정도로 책임을 묻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감옥에 가지 않은 사람 등에 대한 이야기도 한동안 많이, 혹은 상당히 있었습니다.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스템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에게 도구세트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우리가 준거할 수 있는, 입증된, 사실상 초당적인 전통도 있습니다.

 

굿맨

네이선 슈나이더씨는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의 미디어학 교수입니다. 그의 신간은 『모두를 위한 모든 것—앞으로의 경제를 형성하는 급진적인 전통』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후안 곤살레스와 함께 하고 있는 에이미 굿맨입니다. 함께 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image_pdfimage_print

References[+]

References
↑1 [옮긴이] 실버 쓰나미(Silver Tsunami)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를 빗댄 말로 주로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시기를 나타낸다.
Share On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Google+
Share on Whatsapp
 Previous Article 3차 디지털 혁명에서의 생존과 번영-2
Next Article   수렵채취인들은 어떻게 평등주의 문화를 유지했는가

Related Posts

  • 인터네상에서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하기

    2024년 6월 16일
  • 네이선 슈나이더와 협동조합 운동의 미래

    2021년 1월 15일
  • 흑인 커먼즈와 집단적 소유권

    2020년 8월 12일
0 0 votes
Article Rating
Login
guest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카테고리

  • 경제 (94)
  • 과학·기술 (26)
  • 도시·지역 (42)
  • 문화·역사 (20)
  • 미분류 (6)
  • 법·거버넌스 (27)
  • 삶정치 (77)
  • 생태 (39)
  • 액티비즘 (44)
  • 예술 (13)
  • 웹·디지털 (47)
  • 철학·이론 (37)
  •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106)
  • Popular Posts
  • Recent Posts
  • 도마뱀이 해주는 이야기 (1/4) 2020년 4월 17일
  • 커먼즈로서의 버닝맨(Burning Man as a Commons) 2014년 3월 15일
  • 폴 크래플(Paul Krafel)의 ‘표행’(飄行)과 ‘더 커먼즈’(The Commons) 01 2019년 4월 27일
  •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2022년 7월 8일
  • 조직화된 공유의 새로운 영역들 2025년 6월 6일
  • 미래의 자연 — 대중적 장르를 통해 커먼즈 바라보기 2025년 3월 9일
  • 전 세계 도시 커먼즈를 위한 아틀라스 2025년 1월 3일
  • 캐스케이디아 그리고 전지구적으로 재개된 생물지역 행동주의 2024년 11월 11일

태그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자유주의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최근 댓글

  • 네이선 슈나이더와 협동조합 운동의 미래의 인터네상에서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하기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지역화폐, 사회적 자본 및 기본소득에 관한 토론의 자본에서 커먼즈로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홀로체인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의 홀로 체인 | '2026' 대박 코인 리스트 #5편 / 홀로코인 Hot / 피어 투 피어 기초에 충실한 블록체인~! / 투자왕 솔라나,아발란체,알고랜드,아이오텍스,하모니,헬륨,홀로코인,신시틱스 상위 138
  • 금융·보험·부동산 부문의 공생관계의 김영종
  • 가이 스탠딩의 『자본주의의 부패』의 바다 약탈을 막을 ‘블루커먼즈’ 어젠다 -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641
  • 253
  • 1,727,526

RSS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

  • 조직화된 공유의 새로운 영역들
  • 미래의 자연 — 대중적 장르를 통해 커먼즈 바라보기
  • 전 세계 도시 커먼즈를 위한 아틀라스
  • 캐스케이디아 그리고 전지구적으로 재개된 생물지역 행동주의
  • 건축에 상상력이 미치는 영향력
  • 건축의 일곱 등불
  • 공생공락 보전을 통해 분리된 인간과 자연 사이에 다리를 놓기
  • 인터네상에서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하기
  • 자본에서 커먼즈로
  • 인류세라고? 아니다, 우리는 생태세에 들어서고 있다

CONTACT US

commonstrans@gmail.com

태그

Assembly Black Lives Matter commons David Bollier Michel Bauwens P2P 공통적인 것 기본소득 네그리 네그리와 하트 다중 데이빗 볼리어 도시 마이클 허드슨 맑스 메트로폴리스 미셸 바우엔스 민주주의 부동산 블록체인 비트코인 삶권력 삶정치 스피노자 신자유주의 오스트롬 자본 자본론 자유주의 전염병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주권 추출주의 커머닝 커먼즈 코비드19 탈중심화 트럼프 파트너 국가 팬데믹 페미니즘 푸코 플랫폼 협동조합 플랫폼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보관함

  • 2025년 6월 (1)
  • 2025년 3월 (1)
  • 2025년 1월 (1)
  • 2024년 11월 (1)
  • 2024년 10월 (1)
  • 2024년 9월 (1)
  • 2024년 8월 (1)
  • 2024년 6월 (1)
  • 2023년 12월 (1)
  • 2023년 11월 (1)
  • 2023년 10월 (1)
  • 2023년 6월 (2)
  • 2023년 2월 (1)
  • 2023년 1월 (1)
  • 2022년 12월 (2)
  • 2022년 8월 (1)
  • 2022년 7월 (3)
  • 2022년 6월 (1)
  • 2022년 4월 (2)
  • 2022년 3월 (1)
  • 2021년 12월 (1)
  • 2021년 11월 (1)
  • 2021년 10월 (1)
  • 2021년 9월 (2)
  • 2021년 8월 (3)
  • 2021년 6월 (1)
  • 2021년 2월 (1)
  • 2021년 1월 (3)
  • 2020년 12월 (3)
  • 2020년 11월 (3)
  • 2020년 10월 (1)
  • 2020년 9월 (2)
  • 2020년 8월 (2)
  • 2020년 7월 (1)
  • 2020년 6월 (1)
  • 2020년 5월 (2)
  • 2020년 4월 (5)
  • 2020년 3월 (5)
  • 2020년 2월 (4)
  • 2020년 1월 (2)
  • 2019년 12월 (4)
  • 2019년 11월 (3)
  • 2019년 9월 (3)
  • 2019년 8월 (2)
  • 2019년 7월 (4)
  • 2019년 6월 (4)
  • 2019년 5월 (5)
  • 2019년 4월 (4)
  • 2019년 3월 (1)
  • 2019년 2월 (2)
  • 2019년 1월 (1)
  • 2018년 11월 (4)
  • 2018년 10월 (59)
  • 2018년 9월 (42)
  • 2018년 8월 (31)
  • 2018년 5월 (5)
  • 2018년 3월 (15)
  • 2018년 1월 (1)
  • 2014년 3월 (13)
  • 2014년 2월 (2)
  • 0년  (1)

Random Posts

  • 블록체인 경제 : 초보자를 위한 제도적 크립토경제 안내 2018년 10월 14일
  • 부채냐 민주주의냐 2018년 5월 22일
wpDiscuz